Past PIC


1990년부터 2023년까지 외신에서 일했던 시절의 흔적입니다.

These are photos from the past when I worked in foreign media from 1990 to 2023.



Stock PIC

Portfolio
Art pic

Portfolio
About

Artist statement




한때 이미지는 찢어져 종이에 붙여졌습니다.
진실은 조각난 거울이 되었고,
뒤샹의 소변기는 예술 붕괴의 깃발을 흔들었습니다.

무도덕의 징후는 시대를 초월했습니다.
물질주의와 쾌락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이라는 지붕 아래 숨어들었습니다.

다양성, 형평성, 포용성은
해체라는 언어로 포장되었고,
인공지능은 데이터의 생명력을 빨아들이며 
슬며시 들어왔습니다.

35년 동안 저는 사실의 무게를
포토저널리즘의 렌즈를 통해
감당하며 현실을 비추고자 했습니다.

하지만 이제 저는 진실을 말하는 것조차 
편견이라는 가면을 쓸 수 있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래서 이제 저는 거울이 아닌 창문이 되기로 했습니다.
작고 보이지 않는 곤충의 세계를 통해
저는 현실의 표면 너머에 있는 진실을 찾아 나섭니다.

제 렌즈는 더 이상 기록하는 데 그치지 않습니다.
그것은 이 시대의 부조리를 꿰뚫는 우화가 됩니다.

역사와 은유를 엮어 만든 나만의 몽타주로...

과거의 이름으로 미래를 집어삼키는 
유령의 얼굴을 드러냅니다.
                                     


Once, images were torn and glued onto paper.
Truth became a fragmented mirror,
and Duchamp’s urinal waved the flag of art’s collapse.

Signs of amorality transcended eras.
Materialism and hedonism
took shelter under the roof of postmodernism.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were wrapped in the language of deconstruction,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crept in—
siphoning the lifeblood of data.

For 35 years, I carried the weight of facts
through the lens of photojournalism,
seeking to illuminate reality.

But now I realize
that even truth-telling can wear the mask of bias.

So now, I choose to become a window, not a mirror.
Through the minuscule and invisible world of insects,
I search for truths beyond the surface of the real.

My lens no longer only documents.
It becomes a fable that pierces through the absurdities of this era.

With my own montages—
stitched from history and metaphor—
I expose the face of the specter
that devours the future in the name of the past.



AND

Biography


저는 1990년부터 33년간 통신사에서 사진기자로 일하며 분단된 한국의 현실과 격동하는 현대사를 기록해 왔습니다.

제 사진과의 인연은 1980년대 한국의 민주화 운동 시기에 시작되었습니다. 대학 시절 취미로 시작한 사진 활동은 곧 민주주의와 언론의 자유 문제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졌습니다. 이러한 열정은 저를 대학 신문사에 입사하게 했고, 이후 한국의 언론 자유 운동과 관련된 저널에서 일하게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경험들은 제 뉴스 사진 인생의 토대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저는 사진기자라는 직업에 한계를 느끼게 되었습니다. 역사는 반복되고, 구조적 부조리는 지속되며, 진실은 권력에 의해 재구성되고, 집단 망각이 만연하는 것을 목격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깨달음은 퇴직 후 제 사진 여정의 새로운 장을 여는 촉매제가 되었습니다.

현재 저는 사진 이미지의 해체와 재구성을 통해 한국 사회에 내재된 이념적 갈등과 체계적 모순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언론 사진의 역사적 파편들과 곤충의 미시 세계를 결합함으로써, 저는 인간 사회의 위선, 통제, 그리고 기억의 연약함을 반영하는 은유적 포토몽타주를 제작합니다.

뉴스와 이미지, 이념과 현실, 과거와 현재의 교차점에 위치한 제 작업은 사진의 사회적 기능과 미적 잠재력을 재고하는 예술적 실험입니다. 이는 단순히 과거로의 회귀가 아니라, 미적 저항의 행위이자 21세기까지 이어지고 있는 해결되지 않은 이념적 갈등을 재구성하는 것입니다.




Since 1990, I have worked for 33 years as a photojournalist for a news agency, documenting the realities of a divided Korea and the turbulence of its modern history.

My journey with photography began in the 1980s during South Korea’s pro-democracy movement. What started as a hobby during my university years soon deepened into an engagement with issues of democracy and press freedom. This passion led me to join the university newspaper and later to work for a journal affiliated with Korea’s free press movement. These formative experiences laid the foundation for my life in news photography.

Over time, however, I began to confront the limitations of photojournalism itself. I witnessed history repeating, structural absurdities persisting, truth being reshaped by power, and collective forgetting taking hold. These realizations became the catalyst for a new chapter in my photographic journey after retirement.

My current work explores the ideological conflicts and systemic contradictions embedded in Korean society through the d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of photographic images. By combining historical fragments of press photography with the micro-world of insects, I create metaphorical photomontages that reflect on hypocrisy, control, and the fragility of memory in human society.

Positioned at the intersection of news and image, ideology and reality, past and present, my work is an artistic experiment in rethinking the social function and aesthetic potential of photography. It is not merely a return to the past, but an act of aesthetic resistance and a reconstruction of the unresolved ideological conflicts that continue into the 21st century.

Contact